반응형

개발/스프링 2

스프링 @Transactional 사용 팁, 주의 사항

1. private 메소드에 걸린 @Transactional은 동작하지 않는다@Service@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ApiService { private final ApiRepository apiRepository; @Transactional private void method1() { apiRepository.save(); }}이유스프링 AOP가 프록시 패턴을 사용하기 때문프록시 패턴을 쓰게 되면 외부에서 동적으로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게 되는데 private 필드는 외부에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할 수가 없기 때문에 AOP가 동작할수가 없다참고 글Spring - private 메서드에 @Transactional이 적용될까? 2. 내..

개발/스프링 2024.06.09

[406 ERROR] Spring boot+ React 연동 시 발생하는 406 에러에 대해

여태까지 공부했던 얕은 지식을 바탕으로 맨 땅에 헤딩을 해보기로 했다. 그 첫번째 프로젝트는 바로 웹 서비스 구현! 프론트는 React, 서버는 Spring boot, DB는 MySQL을 이용할 계획이다. 프로젝트의 첫번째로 Spring boot와 React를 연동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참고한 블로그는 아래 링크에 있다. https://transferhwang.tistory.com/411 [Spring] 스프링 부트 + 리액트 환경 구축 및 연동 오늘 진행할 실습 스프링 부트 환경 구축 리액트 환경 구축 스프링부트와 리액트 연동하기 스프링 부트 환경 구축 먼저 스프링 부트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 부트 환경을 구축하 transferhwang.tistory.com 문제가 생겼다. 토씨하나 틀리..

개발/스프링 2021.09.17
반응형